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행렬(오르다)수의 대소 비교를 넘어 수 전략적 사고까지 즐기다!(보드 게임 수업 시 활용)

by 행운을 픽서비스 2025. 7. 2.

오르다 행렬수 게임은 음수와 양수를 타일 형태로 배우면서도, 아이들이 재미있게 수 개념을 익히고 전략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활동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업 도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과 발문 예시를 제공합니다. 수업의 집중력과 흥미를 한 번에 끌어올려 보세요.

스토리텔링으로 개념 도입하기

아이들에게 이렇게 이야기해보세요.

“얘들아, 오늘은 숫자 나라에 있는 타일 친구들을 소개할 거야.
숫자 나라에는 두 가지 마을이 있어.
하나는 양수 마을, 다른 하나는 음수 마을이야.”

- 양수 마을 친구들은 항상 밝고 자신감 넘치지.
예를 들어 +5는 ‘나는 5만큼 높아!’ 하고 말해.

- 그런데 음수 마을 친구들은 조금 다르게 말해.
-3은 ‘나는 3만큼 아래쪽에 있어…’ 하고 말하지.

“만약 우리 학교 운동장에 지하가 있다면, +3은 운동장 위 3층, -3은 지하 3층이라고 생각해봐. 어떤 친구가 더 높은 곳에 있을까?”

발문 예시
- “-5와 +2 중 누가 더 위에 있을까?”
- “0은 음수 마을일까, 양수 마을일까, 아니면 어디에도 속하지 않을까?”

행렬 - 오르다
행렬- 오르다

 

타일 종류와 색깔로 이해하기

오르다 행렬수 타일에는 양수와 음수가 섞여 있습니다.
수업 전에 아이들에게 색으로 구분하게 하면 개념이 더 쉽게 각인됩니다.

예를 들어,
- 양수 타일: 초록색 → ‘힘이 나는 긍정 에너지’
- 음수 타일: 파란색 → ‘차가운 겨울 바람 같은 숫자’

이렇게 색과 느낌을 연결하면, 수 비교 활동에서도 아이들이 양수와 음수를 감각적으로 떠올릴 수 있습니다.

발문 예시
- “초록색 타일이 많으면 어떤 기분이 들까?”
- “파란색 타일이 많으면 어떤 상황일까?”

숫자 나라 게임으로 도입 연결하기

도입을 마친 뒤, 수업을 이렇게 전환해보세요.

“이제 숫자 나라 친구들이 학교 운동장에 모였어. 가로줄과 세로줄에 쭉 줄을 섰지. 선생님이 부르면, 가장 키 큰 친구가 앞으로 나오고, 가장 키 작은 친구는 한 발짝 뒤로 가야 해. 그런데 음수 마을 친구들은 키가 마이너스라 뒤로 물러서 있어. 누가 제일 앞에 설까?”

이 이야기를 들으면 아이들은 음수와 양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개념을 자연스럽게 떠올립니다. 또한, 숫자가 +, - 기호만 바뀌어도 위치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사실을 몸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발문 예시
- “-10은 운동장 어디쯤 있을까?”
- “+5와 -5 중 누가 운동장에서 더 앞으로 나왔을까?”

수의 이해 폭이 넓어져  음수, 양수 개념을 배웁니다.

오르다 행렬수 수업의 도입은 스토리텔링, 색깔, 발문을 결합하면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숫자 나라 이야기를 활용해, 음수와 양수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열어보세요.

오르다 행렬수 게임을 팀별 대항전 형태로 확장하면, 수 비교를 넘어 전략적 사고, 협력학습, 메타인지까지 한 번에 훈련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로팀 vs 세로팀 규칙을 캐주얼하게 설명하고, 수업과 가정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발문 예시를 함께 정리했습니다.

기본 규칙: 가로팀 vs 세로팀

이 게임은 전체 행렬을 두 팀으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가로팀: 각 가로줄의 수를 기반으로 전략을 세우는 팀
세로팀: 각 세로줄의 수를 기반으로 전략을 세우는 팀

게임 진행 방법
1. 세로팀의 차례
세로팀은 한 세로줄에서 가장 큰 수 하나를 가져오거나, 여러 개의 수를 더해 10, 20, 30을 만들 수 있다면 여러 개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줄에 4, 6, 8이 있다면, 4+6=10으로 두 수를 가져오거나, 단일 최대값 8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별 표시
가져온 수의 자리는 비게 되므로, 그 자리에 별칩(또는 별 표시)을 놓습니다. 이 별은 중요한 전략 포인트가 됩니다.

3. 가로팀의 차례
다음 차례가 가로팀으로 넘어가면, 별이 놓인 자리를 기준으로 가로줄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가장 큰 수를 가져가거나, 합이 10, 20, 30이 되는 수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진행되면 세로팀과 가로팀 모두 상대 팀의 선택 이후 결과를 예측하고, ‘어떤 수를 가져가야 다음 내 차례에 유리할까?’를 고민하게 됩니다.

규칙 이해 발문 예시
- “세로팀이 지금 가장 큰 수를 가져가면 가로팀은 어떤 선택을 할까?”
- “합이 10, 20, 30이 되는 조합이 있나?”
- “별이 놓인 자리가 가로팀에 어떤 영향을 줄까?”

행렬 - 가로 팀 고민
행렬 - 가로 팀 4를 가져오면 세로 팀은 ?

 

전략적 사고를 기르는 심화 규칙

이 팀 대항 게임의 핵심은, 내 팀의 최대 이득을 계산함과 동시에 상대팀의 선택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세로팀이 큰 수 하나를 가져가는 것이 유리할지, 합으로 여러 수를 가져가는 것이 유리할지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 가져간 후 남은 숫자의 크기와 배치
- 별 자리가 가로팀 전략에 미치는 영향
- 상대팀이 선택 가능한 수의 범위를 줄일 수 있는가

심화 발문 예시
- “이 줄에서 10을 만들면 별이 어디에 생길까?”
- “가장 큰 수를 가져가면, 상대팀이 더 큰 합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 “별이 여러 개 생기면 가로팀은 어떻게 대응할까?”

수업과 가정에서의 활용팁

이 규칙은 수업 시간에 팀별 토론을 유도하기 좋습니다. 예를 들어,
- 두 팀이 각자 전략회의를 한 뒤, 선택 이유를 발표하도록 해보세요.
- 가정학습에서는 부모님과 아이가 가로팀, 세로팀으로 나누어 대결해보면 재미와 학습 효과가 동시에 올라갑니다.

또한 게임 후 “어떤 선택이 더 좋았을까?”, “다음에는 어떤 전략을 써볼까?” 같은 메타인지 발문으로 사고를 확장해 주세요.

활용 발문 예시
- “이번에 선택한 전략에서 더 좋은 방법이 있었을까?”
- “별을 일부러 많이 만들면 어떤 결과가 생길까?”
- “상대가 못 가져가게 하려면 어떤 수를 먼저 없애야 할까?”

수학의 기초기반이되는 대소비교 및 연산 여기에 전략적사고 모두 넣어

오르다 행렬수 팀별 전략 게임은 단순 수 비교를 넘어 전략적 사고, 협력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워주는 최적의 활동입니다. 오늘부터 수업과 가정에서 가로팀 vs 세로팀 게임을 적용해보세요. 아이들의 두뇌가 즐겁게 깨어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