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부당한 대우, 이제 그만! 노동법 핵심 정리
직장생활 하다 보면 “이거 불합리한 거 같은데…?” 싶은 순간, 한두 번쯤은 다 있잖아요. 그럴 때 가장 든든한 무기가 바로 노동법입니다. 법전 들고 다닐 필요는 없지만, 딱 필요한 것만 알아도 부당한 대우를 피할 수 있어요.
1️⃣ 근로계약서는 무조건 서면!
"우리 구두로 했으니까 알지?" 👉 절대 안 됩니다.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종이에 쓰여 있어야 하고, 내용은 아래가 기본이에요:
- 💰 임금 (얼마 받을 건지)
- ⏰ 근로시간 (몇 시부터 몇 시까지)
- 📅 휴일과 연차 (쉴 권리)
- 📝 업무 내용 (뭐 하는 자리인지)
2️⃣ 근로시간·휴일 체크!
-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이 기본. - 초과근무는 주 12시간까지만 가능. - 주 1회 이상 유급휴일, 즉 쉴 권리는 무조건 보장됩니다. - 1년 성실히 다녔다면 연차 15일도 챙겨야 해요.
3️⃣ 임금, 체불은 절대 안 돼
최저임금보다 적게 주는 건 불법! 2025년 기준 최저시급은 10,030원. 임금은 전액, 정기적으로, 직접 줘야 하고, 혹시라도 밀리면 노동청 신고 가능합니다.
4️⃣ 퇴직금 챙기기
- 1년 이상,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퇴직금 당연히 받아야 해요. - 회사는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해야 합니다. 안 주면 역시 노동청 진정 Go!
5️⃣ 부당해고? 바로 대응!
정당한 이유 없이 “그만둬” 👉 이건 불법. 해고하려면 30일 전 예고하거나 30일치 임금을 줘야 합니다. 부당하다 싶으면 노동위원회 구제신청이 답입니다.
✨ 알아두면 더 좋은 권리들
- 🚫 직장 내 괴롭힘 금지: 폭언, 따돌림, 부당 업무지시 금지
- 🤰 산전후 휴가: 출산 전후 90일 보장
- 👶 육아휴직: 자녀 만 8세 이하까지 1년 사용 가능
- ⚖️ 차별 금지: 성별·나이·고용형태로 차별 불가
📍 마무리
노동법을 다 외울 필요는 없어요. 계약서 → 근로시간·임금 → 퇴직금 → 부당해고 이 네 가지만 확실히 알아둬도 웬만한 부당 대우는 피할 수 있습니다.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 ✊
반응형